대수적 수론 에서 대수적 수체 (代數的數體, 영어 : algebraic number field ), 줄여서 수체 (數體, 영어 : number field )는 유리수체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의 유한 확대 이다. 즉, 유리수체에, 어떤 유리수 계수 다항식의 근으로 적을 수 있는 유한 개의 원소들을 첨가하여 얻는 체 이다.
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는 유리수체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의 유한 확대 이다. 이는 대역체 의 한 종류이다.
오스트롭스키 정리 (Островский定理, 영어 : Ostrowski’s theorem )에 따르면, 수체
K
{\displaystyle K}
위의 자명하지 않은 자리 들은 다음과 같다.
실수로의 매장
ι
:
K
↪
R
{\displaystyle \iota \colon K\hookrightarrow \mathbb {R} }
에 대하여,
|
⋅
|
ι
=
|
⋅
|
R
∘
ι
{\displaystyle |\cdot |_{\iota }=|\cdot |_{\mathbb {R} }\circ \iota }
. 여기서
|
⋅
|
R
{\displaystyle |\cdot |_{\mathbb {R} }}
는 실수 위의 표준 절댓값이다. 이 절댓값과 동치인 자리를 실수 무한 자리 (實數無限-, 영어 : real infinite place )라고 한다.
복소수로의 매장
ι
:
K
↪
R
{\displaystyle \iota \colon K\hookrightarrow \mathbb {R} }
에 대하여 (
ι
(
K
)
⊄
R
{\displaystyle \iota (K)\not \subset \mathbb {R} }
),
|
⋅
|
ι
=
|
⋅
|
C
∘
ι
{\displaystyle |\cdot |_{\iota }=|\cdot |_{\mathbb {C} }\circ \iota }
. 여기서
|
⋅
|
C
{\displaystyle |\cdot |_{\mathbb {C} }}
는 복소수 위의 표준 절댓값이다. 이 경우,
ι
{\displaystyle \iota }
와
ι
¯
{\displaystyle {\bar {\iota }}}
는 같은 절댓값을 정의한다. 이 절댓값과 동치인 자리를 복소수 무한 자리 (複素數無限-, 영어 : complex infinite place )라고 한다.
대수적 정수환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의 소 아이디얼
p
{\displaystyle {\mathfrak {p}}}
에 대하여,
p
{\displaystyle {\mathfrak {p}}}
진 절댓값의 자리. 이를 유한 자리 (有限-, 영어 : finite place )라고 한다. 무한 자리와 마찬가지로, 이들은 p진수체 의 대수적 폐포
Q
¯
p
{\displaystyle {\bar {\mathbb {Q} }}_{p}}
로의 매장과 대응한다. 즉,
p
∣
(
p
)
{\displaystyle {\mathfrak {p}}\mid (p)}
라면,
p
{\displaystyle {\mathfrak {p}}}
진 자리는 매장
K
↪
Q
¯
p
{\displaystyle K\hookrightarrow {\bar {\mathbb {Q} }}_{p}}
을 정의하며, 절대 갈루아 군
Gal
(
Q
¯
p
/
Q
p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Gal} ({\bar {\mathbb {Q} }}_{p}/\mathbb {Q} _{p})}
의 작용에 의하여 관련되는 매장들은 같은 위치를 정의한다.
예를 들어, 유리수체 의 자리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.
자명 자리
|
⋅
|
0
{\displaystyle |\cdot |_{0}}
소수
p
{\displaystyle p}
에 대하여,
p
{\displaystyle p}
진 자리
|
⋅
|
p
{\displaystyle |\cdot |_{p}}
하나의 실 무한 자리
|
⋅
|
∞
{\displaystyle |\cdot |_{\infty }}
수체
K
{\displaystyle K}
에서, 실수 자리의 수를
r
1
{\displaystyle r_{1}}
, 복소수 자리의 수를
r
2
{\displaystyle r_{2}}
라고 한다. 이 경우, 다음이 성립한다.
[
K
:
Q
]
=
r
1
+
2
r
2
{\displaystyle [K:\mathbb {Q} ]=r_{1}+2r_{2}}
이는
K
{\displaystyle K}
에서 복소수체로 가는 체의 확대 의 수와 같다. (각 복소수 자리는 복소켤레 를 취할 수 있으므로, 두 번 중복해서 센다.)
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는 대역체 이므로, 다음과 같은 곱 공식 (영어 : product formula )이 성립한다.[ 1] :185, Proposition III.1.3
∏
v
|
a
|
v
=
1
,
∀
a
∈
K
×
{\displaystyle \prod _{v}|a|_{v}=1,\forall a\in K^{\times }}
여기서
∏
v
{\displaystyle \textstyle \prod _{v}}
는
K
{\displaystyle K}
의 모든 자리에 대한 곱이며,
|
−
|
v
{\displaystyle |-|_{v}}
는 주어진 자리에 대응하는 정규화 절댓값이다. 또한, 위 곱에서 오직 유한 개의 항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1이어서 곱이 잘 정의된다. 예를 들어, 유리수
a
=
s
∏
p
p
n
p
,
s
∈
{
±
1
}
{\displaystyle a=s\prod _{p}p^{n_{p}},\;s\in \{\pm 1\}}
의 경우
|
a
|
∞
=
∏
p
p
n
p
{\displaystyle |a|_{\infty }=\prod _{p}p^{n_{p}}}
|
a
|
p
=
p
−
n
p
{\displaystyle |a|_{p}=p^{-n_{p}}}
이므로
|
a
|
∞
|
a
|
2
|
a
|
3
⋯
=
∏
p
p
n
p
⋅
∏
p
p
−
n
p
=
1
{\displaystyle |a|_{\infty }|a|_{2}|a|_{3}\cdots =\prod _{p}p^{n_{p}}\cdot \prod _{p}p^{-n_{p}}=1}
이다.
가산 무한 체의 유한 확대이므로, 모든 대수적 수체는 가산 무한 집합 이다.
모든 대수적 수체는 유리수체의 확대로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.
정의에 따라 유한 확대 이며, 따라서 대수적 확대 이다. 그 차수는
r
1
+
2
r
2
{\displaystyle r_{1}+2r_{2}}
와 같다 (
r
1
{\displaystyle r_{1}}
은 실수 자리의 수,
r
2
{\displaystyle r_{2}}
는 복소수 자리의 수).
유리수체의 표수 는 0이므로, 분해 가능 확대 이다.
그러나 정규 확대 (즉, 갈루아 확대 )가 아닌 수체가 존재한다.
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에 이산 위상 을 주면, 그 덧셈군은 위상군 을 이룬다. 이 경우, 그 폰트랴긴 쌍대군
K
^
{\displaystyle {\hat {K}}}
는 다음과 같은 아델 환 의 몫이다.
K
^
≅
A
K
/
K
{\displaystyle {\hat {K}}\cong \mathbb {A} _{K}/K}
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의 대수적 정수환 (代數的整數環, 영어 : ring of algebraic integers )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는
Z
⊂
K
{\displaystyle \mathbb {Z} \subset K}
의,
K
{\displaystyle K}
속에서의 정수적 원소 들의 환이다. 즉, 다음과 같다.
O
K
=
{
a
∈
K
:
∃
p
(
x
)
∈
Z
[
x
]
:
p
is monic;
p
(
a
)
=
0
}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=\{a\in K\colon \exists p(x)\in \mathbb {Z} [x]\colon p{\mbox{ is monic; }}p(a)=0\}}
이는
K
{\displaystyle K}
의 부분환 을 이룬다.
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의 대수적 정수환 은 모든 비아르키메데스 절댓값들에 대한 완비화들의 정수환(절댓값이 1 이하인 원소들의 집합)들의 교집합 과 같다.[ 2] :192
모든 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의 대수적 정수환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은 크룰 차원 이 1인 데데킨트 정역 이다. 즉, 다음이 성립한다.
대수기하학 적 관점에서는 그 스펙트럼 을 취해 1차원 아핀 스킴 으로 여길 수 있다.
모든 대수적 수체
K
{\displaystyle K}
에서, 다음이 성립한다.
O
K
∩
Q
=
Z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\cap \mathbb {Q} =\mathbb {Z} }
K
=
Frac
O
K
{\displaystyle K=\operatorname {Frac} {\mathcal {O}}_{K}}
여기서
Frac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Frac} }
은 분수체 를 뜻한다.
대수적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의 덧셈군은 유한 생성 자유 아벨 군 이며, 그 계수는
K
/
Q
{\displaystyle K/\mathbb {Q} }
의 차수와 같다.
rank
O
K
=
[
K
:
Q
]
=
r
1
(
K
)
+
2
r
2
(
K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rank} {\mathcal {O}}_{K}=[K:\mathbb {Q} ]=r_{1}(K)+2r_{2}(K)}
차수 n 의 수체
K
{\displaystyle K}
의 정수 기저 (영어 : integral basis )는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의 (자유 아벨 군으로서의) 기저
{
b
1
,
…
,
b
n
}
{\displaystyle \{b_{1},\dots ,b_{n}\}}
이다. 따라서
K
{\displaystyle K}
의 모든 대수적 정수들을
∑
i
=
1
n
k
i
b
i
{\displaystyle \sum _{i=1}^{n}k_{i}b_{i}}
(
k
i
∈
Z
{\displaystyle k_{i}\in \mathbb {Z} }
)
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고,
K
{\displaystyle K}
의 모든 원소들을
∑
i
=
1
n
r
i
b
i
{\displaystyle \sum _{i=1}^{n}r_{i}b_{i}}
(
r
i
∈
Q
{\displaystyle r_{i}\in \mathbb {Q} }
)
의 꼴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.
일부 수체의 경우, 정수 기저가
b
i
=
b
1
i
,
∀
i
=
1
,
…
,
r
1
+
2
r
2
{\displaystyle b_{i}=b_{1}^{i},\forall i=1,\dots ,r_{1}+2r_{2}}
가 되게 잡을 수 있다. 이러한 정수 기저를 거듭제곱 정수 기저 (영어 : power integral basis )라고 하고, 거듭제곱 정수 기저를 갖는 수체를 단일생성체 (영어 : monogenic field )라고 한다. 모든 이차 수체 와 원분체 는 단일생성체이지만, 3차 수체 가운데는 단일생성체가 아닌 체가 존재한다.
n
{\displaystyle n}
차 수체
K
{\displaystyle K}
의 정수 기저
v
1
,
…
,
v
n
⊂
O
K
{\displaystyle v_{1},\dots ,v_{n}\subset {\mathcal {O}}_{K}}
가 주어졌다고 하자. 그렇다면 K의 임의의 원소 x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
x
v
i
=
∑
a
i
j
v
j
.
{\displaystyle xv_{i}=\sum a_{ij}v_{j}.}
따라서 x를 곱하는 연산을 유리수 계수 정사각 행렬
X
=
(
a
i
j
)
i
,
j
=
1
,
…
,
n
{\displaystyle X=(a_{ij})_{i,j=1,\dots ,n}}
로 나타낼 수 있으며, 이를 x의 기저 v1 , ..., vn 에 대한 정칙 표현 (正則表現, 영어 : regular representation )이라 한다. 행렬의 대각합 이나 행렬식 및 고유 다항식 등의 불변량 은
x
{\displaystyle x}
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되며, 기저에는 의존하지 않는다.
X
{\displaystyle X}
의 고유 다항식
det
(
λ
−
X
)
=
λ
n
+
c
1
λ
n
−
1
+
⋯
+
c
n
{\displaystyle \det(\lambda -X)=\lambda ^{n}+c_{1}\lambda ^{n-1}+\cdots +c_{n}}
은
x
{\displaystyle x}
를 근으로 갖는 일계수 다항식 이다. 이 경우,
X
{\displaystyle X}
의 대각합과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.
tr
X
=
−
c
1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tr} X=-c_{1}}
det
X
=
(
−
1
)
n
c
n
{\displaystyle \det X=(-1)^{n}c_{n}}
이 경우,
X
{\displaystyle X}
의 대각합은
T
K
/
Q
(
x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T} _{K/\mathbb {Q} }(x)}
로 쓰고,
x
{\displaystyle x}
의 대각합 이라고 한다. 마찬가지로,
X
{\displaystyle X}
의 행렬식은
N
K
/
Q
(
x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N} _{K/\mathbb {Q} }(x)}
로 쓰고,
x
{\displaystyle x}
의 노름 이라 한다.
대각합과 노름은 다음의 성질들을 따른다.
(대각합의 선형성)
T
K
/
Q
(
a
x
+
b
y
)
=
a
T
K
/
Q
(
x
)
+
b
T
K
/
Q
(
y
)
∀
x
,
y
∈
K
,
a
,
b
∈
Q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T} _{K/\mathbb {Q} }(ax+by)=a\operatorname {T} _{K/\mathbb {Q} }(x)+b\operatorname {T} _{K/\mathbb {Q} }(y)\qquad \forall x,y\in K,\;a,b\in \mathbb {Q} }
(노름의 승법성)
N
K
/
Q
(
a
x
y
)
=
a
n
N
K
/
Q
(
x
)
N
K
/
Q
(
y
)
∀
x
,
y
∈
K
,
a
∈
Q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N} _{K/\mathbb {Q} }(axy)=a^{n}\operatorname {N} _{K/\mathbb {Q} }(x)\operatorname {N} _{K/\mathbb {Q} }(y)\qquad \forall x,y\in K,\;a\in \mathbb {Q} }
수체의 판별식 (判別式, 영어 : discriminant )은 그 대수적 정수가 얼마나 빽빽히 존재하는지를 측정하는 불변량이다. 즉, 가역원 기준이 작을수록 수체는 더 많은 대수적 정수들을 갖는다. 구체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.
수체
K
{\displaystyle K}
의 대수적 정수환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의 정수 기저
{
b
1
,
…
,
b
r
}
⊂
O
K
{\displaystyle \{b_{1},\dots ,b_{r}\}\subset O_{K}}
를 고르자 (
r
=
r
1
+
2
r
2
{\displaystyle r=r_{1}+2r_{2}}
).
K
{\displaystyle K}
의 실수 자리와 복소수 자리들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.
σ
1
R
,
…
,
σ
r
1
R
:
K
↪
R
{\displaystyle \sigma _{1}^{\mathbb {R} },\dots ,\sigma _{r_{1}}^{\mathbb {R} }\colon K\hookrightarrow \mathbb {R} }
σ
1
C
,
…
,
σ
r
2
C
:
K
↪
C
{\displaystyle \sigma _{1}^{\mathbb {C} },\dots ,\sigma _{r_{2}}^{\mathbb {C} }\colon K\hookrightarrow \mathbb {C} }
그렇다면 다음과 같은
r
×
r
{\displaystyle r\times r}
정사각 행렬 을 정의할 수 있다.
M
=
(
σ
1
R
(
b
1
)
⋯
σ
r
1
R
(
b
1
)
σ
1
C
(
b
1
)
⋯
σ
r
2
C
(
b
1
)
σ
¯
1
(
b
1
)
⋯
σ
¯
r
2
(
b
1
)
⋮
⋮
⋮
⋮
σ
1
R
(
b
r
)
⋯
σ
r
1
R
(
b
r
)
σ
1
C
(
b
r
)
⋯
σ
r
2
C
(
b
r
)
σ
¯
1
(
b
r
)
⋯
σ
¯
r
2
(
b
r
)
)
{\displaystyle M={\begin{pmatrix}\sigma _{1}^{\mathbb {R} }(b_{1})&\cdots \sigma _{r_{1}}^{\mathbb {R} }(b_{1})&\sigma _{1}^{\mathbb {C} }(b_{1})&\cdots \sigma _{r_{2}}^{\mathbb {C} }(b_{1})&{\bar {\sigma }}_{1}(b_{1})&\cdots &{\bar {\sigma }}_{r_{2}}(b_{1})\\\vdots &&\vdots &&\vdots &&\vdots \\\sigma _{1}^{\mathbb {R} }(b_{r})&\cdots \sigma _{r_{1}}^{\mathbb {R} }(b_{r})&\sigma _{1}^{\mathbb {C} }(b_{r})&\cdots \sigma _{r_{2}}^{\mathbb {C} }(b_{r})&{\bar {\sigma }}_{1}(b_{r})&\cdots &{\bar {\sigma }}_{r_{2}}(b_{r})\\\end{pmatrix}}}
이 행렬의 행렬식 의 제곱은 정수 기저나 자리들의 순서에 의존하지 않으며, 이를
K
{\displaystyle K}
의 판별식
Δ
K
{\displaystyle \Delta _{K}}
라고 한다.
Δ
K
=
(
det
M
)
2
{\displaystyle \Delta _{K}=(\det M)^{2}}
수체의 판별식
Δ
K
{\displaystyle \Delta _{K}}
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.
브릴 정리 (영어 : Brill’s theorem ): 수체의 판별식의 부호는
sgn
Δ
K
=
(
−
1
)
r
2
(
K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gn} \Delta _{K}=(-1)^{r_{2}(K)}}
이다. (판별식은 항상 0이 아니다.)
슈티켈베르거 정리 (영어 : Stickelberger’s theorem ): 수체의 판별식은 4에 대한 나머지가 항상 0이나 1이다.
Δ
K
≡
0
,
1
(
mod
4
)
{\displaystyle \Delta _{K}\equiv 0,1{\pmod {4}}}
민코프스키 하한 (영어 : Minkowski’s bound ):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. 여기서
r
=
r
1
+
2
r
2
=
[
K
:
Q
]
{\displaystyle r=r_{1}+2r_{2}=[K:\mathbb {Q} ]}
이다.
|
Δ
K
|
≥
r
r
r
!
(
π
4
)
r
2
{\displaystyle {\sqrt {|\Delta _{K}|}}\geq {\frac {r^{r}}{r!}}\left({\frac {\pi }{4}}\right)^{r_{2}}}
민코프스키 정리 (영어 : Minkowski’s theorem ): 유리수체가 아닌 수체의 판별식의 절댓값 은 항상 2 이상이다. (유리수체의 판별식은 1이다.) 이는 민코프스키 하한으로부터 바로 유도된다.
|
Δ
K
|
≥
2
(
K
≠
Q
)
{\displaystyle |\Delta _{K}|\geq 2\qquad (K\neq \mathbb {Q} )}
에르미트-민코프스키 정리 (영어 : Hermite–Minkowski theorem ): 주어진 판별식을 가진 수체(의 동형류)의 수는 유한하다. 이 역시 민코프스키 하한으로부터 바로 유도된다.
K
{\displaystyle K}
에 속한 1의 거듭제곱근 들로 구성된 근은 대수적 정수환의 꼬임 부분군 이며,
Tors
(
O
K
×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Tors} ({\mathcal {O}}_{K}^{\times })}
라고 하자. 이는 항상 유한 순환군 이다. 즉,
K
{\displaystyle K}
에 속한 1의 거듭제곱근 들의 수가
w
K
{\displaystyle w_{K}}
라고 하면
Tors
(
O
K
×
)
=
Cyc
(
w
K
)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Tors} ({\mathcal {O}}_{K}^{\times })=\operatorname {Cyc} (w_{K})}
이다.
디리클레 가역원 정리 (Dirichlet可逆元定理, 영어 : Dirichlet unit theorem )에 따르면,
K
{\displaystyle K}
의 대수적 정수환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의 가역원군
O
K
×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^{\times }}
은 유한 생성 아벨 군 이며, 다음과 같은 꼴이다.
O
K
×
≅
Cyc
(
w
k
)
⊕
Z
⊕
(
r
1
+
r
2
−
1
)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^{\times }\cong \operatorname {Cyc} (w_{k})\oplus \mathbb {Z} ^{\oplus (r_{1}+r_{2}-1)}}
즉, 가역원군의 꼬임 부분군 에 대한 몫군 은 유한 생성 자유 아벨 군 이며, 그 계수 는
r
1
+
r
2
−
1
{\displaystyle r_{1}+r_{2}-1}
이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다.
수체
가역원군
실수 자리 수
r
1
{\displaystyle r_{1}}
복소수 자리 수
r
2
{\displaystyle r_{2}}
가역원군의 크기
차수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{
±
1
}
{\displaystyle \{\pm 1\}}
1
0
0
1
Q
(
d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{\sqrt {d}})}
(
d
{\displaystyle d}
는 양의 무제곱 정수)
2
0
1
2
Q
(
−
d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{\sqrt {-d}})}
(
d
{\displaystyle d}
는 양의 무제곱 정수)
0
1
0
2
Q
(
i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i)}
(가우스 정수 )
{
±
1
,
±
i
}
{\displaystyle \{\pm 1,\pm i\}}
0
1
0
2
Q
(
ω
)
/
(
ω
2
+
ω
+
1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\omega )/(\omega ^{2}+\omega +1)}
(아이젠슈타인 정수 )
{
±
1
,
±
ω
,
±
ω
2
}
{\displaystyle \{\pm 1,\pm \omega ,\pm \omega ^{2}\}}
0
1
0
2
수체의 가역원 기준 (可逆元基準, 영어 : regulator 레귤레이터[* ] )은 수체의 가역원이 얼마나 빽빽히 존재하는지를 측정하는 불변량이다. 즉, 가역원 기준이 작을수록 수체는 더 많은 가역원들을 가진다. 가역원 기준은 유수 공식 에 등장한다. 구체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.
대수적 정수환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의 가역원군
O
K
×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^{\times }}
이 주어졌다고 하자.
K
{\displaystyle K}
에 속하는 1의 거듭제곱근 들의 순환군
Cyc
(
m
)
=
{
1
,
ζ
m
,
ζ
m
2
,
…
}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m)=\{1,\zeta _{m},\zeta _{m}^{2},\dots \}}
에 대한 몫군
O
K
×
/
Cyc
(
r
)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^{\times }/\operatorname {Cyc} (r)}
을 생각하자. 이 군의 생성원
O
K
×
/
Cyc
(
r
)
=
⟨
u
1
,
…
,
u
r
⟩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^{\times }/\operatorname {Cyc} (r)=\langle u_{1},\dots ,u_{r}\rangle }
을 고르자. 디리클레 가역원 정리에 따라서,
r
=
r
1
(
K
)
+
r
2
(
K
)
−
1
{\displaystyle r=r_{1}(K)+r_{2}(K)-1}
이다 (
r
1
(
K
)
{\displaystyle r_{1}(K)}
은 실수 자리의 수,
r
2
(
K
)
{\displaystyle r_{2}(K)}
는 복소수 자리의 수).
K
{\displaystyle K}
의 실수 자리 및 복소수 자리들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.
σ
1
R
,
…
,
σ
r
1
R
:
K
↪
R
{\displaystyle \sigma _{1}^{\mathbb {R} },\dots ,\sigma _{r_{1}}^{\mathbb {R} }\colon K\hookrightarrow \mathbb {R} }
σ
1
C
,
…
,
σ
r
2
C
:
K
↪
C
{\displaystyle \sigma _{1}^{\mathbb {C} },\dots ,\sigma _{r_{2}}^{\mathbb {C} }\colon K\hookrightarrow \mathbb {C} }
그렇다면 다음과 같은
r
×
(
r
+
1
)
{\displaystyle r\times (r+1)}
행렬을 생각하자.
M
=
(
ln
|
σ
1
R
(
u
1
)
|
⋯
ln
|
σ
r
1
R
(
u
1
)
|
2
ln
|
σ
1
C
(
u
1
)
|
⋯
2
ln
|
σ
r
2
C
(
u
1
)
|
⋮
⋮
⋮
⋮
ln
|
σ
1
R
(
u
r
)
|
⋯
ln
|
σ
r
1
R
(
u
r
)
|
2
ln
|
σ
1
C
(
u
r
)
|
⋯
2
ln
|
σ
r
2
C
(
u
r
)
|
)
{\displaystyle M={\begin{pmatrix}\ln |\sigma _{1}^{\mathbb {R} }(u_{1})|&\cdots &\ln |\sigma _{r_{1}}^{\mathbb {R} }(u_{1})|&2\ln |\sigma _{1}^{\mathbb {C} }(u_{1})|&\cdots &2\ln |\sigma _{r_{2}}^{\mathbb {C} }(u_{1})|\\\vdots &&\vdots &\vdots &&\vdots \\\ln |\sigma _{1}^{\mathbb {R} }(u_{r})|&\cdots &\ln |\sigma _{r_{1}}^{\mathbb {R} }(u_{r})|&2\ln |\sigma _{1}^{\mathbb {C} }(u_{r})|&\cdots &2\ln |\sigma _{r_{2}}^{\mathbb {C} }(u_{r})|\\\end{pmatrix}}}
M
{\displaystyle M}
의 임의의 행의 원소들의 합은 (가역원의 체 노름 의 절댓값 은 항상 1이므로) 0이다.
∑
j
M
i
,
j
=
ln
|
f
1
(
u
i
)
⋯
f
r
1
(
u
i
)
g
1
(
u
i
)
2
⋯
g
r
2
(
u
i
)
2
|
=
ln
|
N
K
/
Q
(
u
i
)
|
=
0
∀
i
=
1
,
…
,
r
{\displaystyle \sum _{j}M_{i,j}=\ln \left|f_{1}(u_{i})\cdots f_{r_{1}}(u_{i})g_{1}(u_{i})^{2}\cdots g_{r_{2}}(u_{i})^{2}\right|=\ln |\operatorname {N} _{K/\mathbb {Q} }(u_{i})|=0\quad \forall i=1,\dots ,r}
M
{\displaystyle M}
에서 임의의 한 열
M
−
,
j
{\displaystyle M_{-,j}}
을 제거한
r
×
r
{\displaystyle r\times r}
정사각 행렬을
M
−
,
j
^
{\displaystyle M_{-,{\hat {j}}}}
라고 하자. 각 행의 합이 0이므로, 행렬식
det
M
−
,
j
^
{\displaystyle \det M_{-,{\hat {j}}}}
는
j
{\displaystyle j}
에 의존하지 않으며, 또한 이는 생성원
u
i
{\displaystyle u_{i}}
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. 이를
K
{\displaystyle K}
의 가역원 기준
Reg
K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Reg} _{K}}
라고 한다.
Reg
K
=
det
M
−
,
j
^
∀
j
=
1
,
…
,
r
+
1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Reg} _{K}=\det M_{-,{\hat {j}}}\quad \forall j=1,\dots ,r+1}
대수적 수체의 정수환은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이 아닐 수 있다. 대수적 수체는 데데킨트 정역 이므로,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인 수체는 항상 주 아이디얼 정역 이다.
유일 인수 분해가 실패하는 수체의 경우, 아이디얼 유군
H
K
{\displaystyle H_{K}}
및 그 크기인 유수(類數)
h
K
=
|
H
K
|
{\displaystyle h_{K}=|H_{K}|}
를 정의할 수 있다. 대수적 수체의 아이디얼 유군은 항상 유한군 이며, 유수는 데데킨트 제타 함수 의 유수 (留數)로부터 유수 공식 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.
이 부분의 본문은
분기화 입니다.
대수기하학 적으로, 포함 관계
Z
↪
O
K
{\displaystyle \mathbb {Z} \hookrightarrow {\mathcal {O}}_{K}}
는 반대로 스킴 사상
Spec
O
K
↠
Spec
Z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ec} {\mathcal {O}}_{K}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pec} \mathbb {Z} }
을 정의한다. 즉, 대수적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은 정수환의 스펙트럼의 (분기) 피복 공간 으로 볼 수 있다. 이 경우, 분기화 (영어 : ramification )가 나타날 수 있다. 즉, 유리정수환에서의 소수 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 이 대수적 정수환에서는 소 아이디얼 이 아니어 인수 분해가 존재할 수 있다.
수체
K
/
Q
{\displaystyle K/\mathbb {Q} }
및 소수
p
∈
Z
+
{\displaystyle p\in \mathbb {Z} ^{+}}
가 주어졌을 때,
p
{\displaystyle p}
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 은
O
K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}
에서 다음과 같이 소 아이디얼 들의 곱으로 인수 분해된다.
(
p
)
=
p
1
e
1
p
2
e
2
⋯
p
k
e
k
{\displaystyle (p)={\mathfrak {p}}_{1}^{e_{1}}{\mathfrak {p}}_{2}^{e_{2}}\dotsb {\mathfrak {p}}_{k}^{e_{k}}}
여기서
e
i
{\displaystyle e_{i}}
를
K
{\displaystyle K}
의
p
i
{\displaystyle {\mathfrak {p}}_{i}}
에서의 분기 지표 (영어 : ramification index )라고 한다.
이 경우,
p
{\displaystyle p}
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.
만약
e
i
>
1
{\displaystyle e_{i}>1}
인
p
i
{\displaystyle {\mathfrak {p}}_{i}}
가 존재한다면,
p
{\displaystyle p}
는 분기화된다 (영어 : ramified ).
만약 모든
e
i
=
1
{\displaystyle e_{i}=1}
이라면,
p
{\displaystyle p}
는 분기화되지 않는다 (영어 : unramified )
만약
k
=
1
{\displaystyle k=1}
이라면,
p
{\displaystyle p}
는 분해되지 않는다 (영어 : unsplit ).
만약
k
>
1
{\displaystyle k>1}
이지만
e
1
=
e
2
=
⋯
=
e
k
=
1
{\displaystyle e_{1}=e_{2}=\dots =e_{k}=1}
이라면,
p
{\displaystyle p}
는 (다른 소수들의 곱으로) 분해된다 (영어 : split ).
수체
K
/
Q
{\displaystyle K/\mathbb {Q} }
에서,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.
소수
p
{\displaystyle p}
는 분기화된다.
O
K
/
(
p
)
=
∏
i
O
K
/
p
i
e
i
{\displaystyle {\mathcal {O}}_{K}/(p)=\prod _{i}{\mathcal {O}}_{K}/{\mathfrak {p}}_{i}^{e_{i}}}
는 0이 아닌 멱영원 을 갖는다. (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)
p
∣
Δ
K
{\displaystyle p\mid \Delta _{K}}
. 여기서
Δ
K
{\displaystyle \Delta _{K}}
는
K
{\displaystyle K}
의 판별식이다.
판별식의 소인수의 수는 유한하므로, 따라서 오직 유한 개의 소수만이 분기화된다.
대수기하학 적으로, 포함 관계
Z
↪
O
K
{\displaystyle \mathbb {Z} \hookrightarrow {\mathcal {O}}_{K}}
는 반대로 스킴 사상
Spec
O
K
↠
Spec
Z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ec} {\mathcal {O}}_{K}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pec} \mathbb {Z} }
을 정의한다. 즉, 대수적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은 정수환의 스펙트럼의 (분기) 피복 공간 으로 볼 수 있다. 이 경우, 분기화 (영어 : ramification )가 나타날 수 있다. 즉, 유리정수환에서의 소수 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 이 대수적 정수환에서는 소 아이디얼 이 아니어 인수 분해가 존재할 수 있다.
위에 정의된 불변량 (차수, 실수 및 복소수 자리의 수, 판별식, 가역원 기준, 아이디얼 유군 등) 밖에도, 수체
K
{\displaystyle K}
에 대응되는 주요 불변량들은 다음이 있다.
K
{\displaystyle K}
의 종수체 (영어 : genus field )
G
/
K
{\displaystyle G/K}
. 이는
K
{\displaystyle K}
의 아벨 확대 이다. 그 갈루아 군 은 종수군 (영어 : genus group )이라고 하며, 종수체의 차수는 종수 (영어 : genus )
g
(
K
)
=
[
G
:
K
]
{\displaystyle g(K)=[G:K]}
라고 한다. 이는 양의 정수이며, 대수 곡선 의 종수와 유사한 성질을 보인다.
K
{\displaystyle K}
의 힐베르트 유체 (영어 : Hilbert class field )
E
/
K
{\displaystyle E/K}
. 이 역시
K
{\displaystyle K}
의 아벨 확대 이다.
E
/
K
{\displaystyle E/K}
의 갈루아 군 은
K
{\displaystyle K}
의 아이디얼 유군과 같다.
K
{\displaystyle K}
의 데데킨트 제타 함수
ζ
K
(
s
)
{\displaystyle \zeta _{K}(s)}
. 이는 유리형 함수 이며, 다른 불변량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.
아델 환
A
K
{\displaystyle \mathbb {A} _{K}}
. 이는 위상환 을 이룬다. 그 가역원군 은 이델 군 이라고 한다. 이들은 유체론 에 자주 등장한다.
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.
유리수체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이차 수체
원분체
Q
(
2
3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{\sqrt[{3}]{2}})}
는 정규 확대 가 아닌 수체이다. 이는
x
3
−
2
{\displaystyle x^{3}-2}
의 3개의 근 가운데 한 개만을 포함하기 때문이다.
x
3
−
x
2
−
2
x
−
8
{\displaystyle x^{3}-x^{2}-2x-8}
의 한 근으로 생성되는 수체는 단일생성체가 아닌 3차 수체이다.
이 부분의 본문은
유리수 입니다.
유리수체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는 자명한 대수적 수체이다. 이는 차수가 1인 유일한 수체이다.
오스트롭스키 정리 (영어 : Ostrowski’s theorem )에 따르면, 유리수체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는 다음과 같은 자리들을 가진다.
자명한 자리
|
x
|
=
{
0
x
=
0
1
x
≠
0
{\displaystyle |x|={\begin{cases}0&x=0\\1&x\neq 0\end{cases}}}
표준 자리 (통상적인 절댓값 )
소수 p 에 대하여, p 진 자리
{
|
0
|
=
0
|
p
n
a
/
b
|
p
=
p
−
n
{\displaystyle {\begin{cases}|0|&=0\\|p^{n}a/b|_{p}=p^{-n}\end{cases}}}
(
a
,
b
,
p
{\displaystyle a,b,p}
는 서로소 )
특히,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}
는 실수 자리 1개와 복소수 자리 0개를 갖는다.
r
1
(
Q
)
=
1
{\displaystyle r_{1}(\mathbb {Q} )=1}
r
2
(
Q
)
=
0
{\displaystyle r_{2}(\mathbb {Q} )=0}
유리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은 정수환
Z
{\displaystyle \mathbb {Z} }
이며, 이는 주 아이디얼 정역 이다. 다시 말해, 유리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에서는 유일 인수 분해 가 성립하며, 그 아이디얼 유군 은 자명군 이며, 그 유수는 1이다.
유리수체에서 체 대각합 과 체 노름 은 항등 함수 이다.
T
Q
/
Q
(
x
)
=
N
Q
/
Q
(
x
)
=
x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T} _{\mathbb {Q} /\mathbb {Q} }(x)=\operatorname {N} _{\mathbb {Q} /\mathbb {Q} }(x)=x}
유리수체의 대수적 정수환
Z
{\displaystyle \mathbb {Z} }
의 정수 기저는
{
1
}
{\displaystyle \{1\}}
을 고를 수 있다. 이는 자명하게 거듭제곱 정수 기저를 이루며, 따라서 유리수체는 자명하게 단일생성체를 이룬다. 유리수체의 판별식은 다음과 같이 자명하게 1이며, 민코프스키 하한에 따라서 판별식이 1인 유일한 수체이다.
Δ
Q
=
(
det
(
1
)
)
2
=
1
{\displaystyle \Delta _{\mathbb {Q} }=\left(\det {\begin{pmatrix}1\end{pmatrix}}\right)^{2}=1}
유리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의 가역원군 은
{
±
1
}
{\displaystyle \{\pm 1\}}
이며, 이는 1의 거듭제곱근 으로만 구성된다. 즉, 디리클레 가역원 정리가 자명하게 성립한다. 유리수체의 가역원 기준은 (0×0 행렬의 행렬식 이므로) 1이다.
Reg
Q
=
1
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Reg} _{\mathbb {Q} }=1}
유리수체의 데데킨트 제타 함수 는 리만 제타 함수
ζ
(
s
)
{\displaystyle \zeta (s)}
이다. 리만 제타 함수의
s
=
1
{\displaystyle s=1}
에서의 유수 는 1이며, 이 경우 유수 공식 은 다음과 같이 성립한다.
1
=
2
r
1
(
Q
)
(
2
π
)
r
2
(
Q
)
h
Q
Reg
Q
|
Tors
(
O
Q
×
)
|
|
Δ
Q
|
=
2
1
⋅
(
2
π
)
0
⋅
1
⋅
1
2
⋅
|
1
|
=
1
{\displaystyle 1={\frac {2^{r_{1}(\mathbb {Q} )}(2\pi )^{r_{2}(\mathbb {Q} )}h_{\mathbb {Q} }\operatorname {Reg} _{\mathbb {Q} }}{|\operatorname {Tors} ({\mathcal {O}}_{\mathbb {Q} }^{\times })|{\sqrt {|\Delta _{\mathbb {Q} }|}}}}={\frac {2^{1}\cdot (2\pi )^{0}\cdot 1\cdot 1}{2\cdot {\sqrt {|1|}}}}=1}
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
d
{\displaystyle d}
에 대하여, 이차 수체
Q
(
d
)
=
Q
+
d
Q
=
Q
[
x
]
/
(
x
2
−
d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{\sqrt {d}})=\mathbb {Q} +{\sqrt {d}}\mathbb {Q} =\mathbb {Q} [x]/(x^{2}-d)}
를 정의할 수 있다. 이는 유리수체의 2차 확대이다. 이 경우,
d
{\displaystyle d}
가 양수일 경우 실수 이차 수체 , 음수일 경우 허수 이차 수체 라고 한다. 특수한 예로, 가우스 유리수 체
Q
(
i
)
=
Q
+
i
Q
=
Q
[
x
]
/
(
x
2
−
1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i)=\mathbb {Q} +i\mathbb {Q} =\mathbb {Q} [x]/(x^{2}-1)}
가 있다. 다른 예로,
Q
(
−
5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{\sqrt {-5}})}
는 그 대수적 정수환이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이 아닌 이차 수체이다. 예를 들어,
6
=
2
⋅
3
=
(
1
+
−
5
)
(
1
−
−
5
)
{\displaystyle 6=2\cdot 3=(1+{\sqrt {-}}5)(1-{\sqrt {-}}5)}
이다.
기저를
{
1
,
d
}
{\displaystyle \{1,{\sqrt {d}}\}}
로 잡으면, 각 원소
a
+
b
d
∈
Q
(
d
)
{\displaystyle a+b{\sqrt {d}}\in \mathbb {Q} ({\sqrt {d}})}
는 다음과 같은 2×2 정사각 행렬 로 적을 수 있다.
a
+
b
d
↦
(
a
d
b
b
a
)
{\displaystyle a+b{\sqrt {d}}\mapsto {\begin{pmatrix}a&db\\b&a\end{pmatrix}}}
이 경우 대각합과 노름은 다음과 같다.
T
(
a
+
b
d
)
=
2
a
{\displaystyle T(a+b{\sqrt {d}})=2a}
N
(
a
+
b
d
)
=
a
2
−
d
b
2
{\displaystyle N(a+b{\sqrt {d}})=a^{2}-db^{2}}
이차 수체 의 판별식은 다음과 같다. 제곱 없는 정수
d
{\displaystyle d}
에 대하여,
Δ
Q
(
d
)
=
{
d
d
≡
1
(
mod
4
)
4
d
d
≡
2
,
3
(
mod
4
)
{\displaystyle \Delta _{\mathbb {Q} ({\sqrt {d}})}={\begin{cases}d&d\equiv 1{\pmod {4}}\\4d&d\equiv 2,3{\pmod {4}}\end{cases}}}
이다. 이차 수체의 판별식과 같은 정수를 기본 판별식 (영어 : fundamental discriminant )이라고 한다. 양의 기본 판별식들은 다음과 같다.
1, 5, 8, 12, 13, 17, 21, 24, … (OEIS 의 수열 A003658 )
음의 기본 판별식들은 다음과 같다.
−3, −4, −7, −8, −11, −15, −19, −20, … (OEIS 의 수열 A003657 )
이 부분의 본문은
원분체 입니다.
원분체는 유리수체에 1의 거듭제곱근
ζ
n
{\displaystyle \zeta _{n}}
을 추가하여 정의한다.
Q
(
ζ
n
)
=
Q
[
x
]
/
(
x
n
−
1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\zeta _{n})=\mathbb {Q} [x]/(x^{n}-1)}
특수한 예로, 아이젠슈타인 유리수
Q
(
ζ
3
)
=
Q
+
Q
(
ζ
3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\zeta _{3})=\mathbb {Q} +\mathbb {Q} (\zeta _{3})}
가 있다.
n
>
2
{\displaystyle n>2}
일 때, 원분체
Q
(
ζ
n
)
{\displaystyle \mathbb {Q} (\zeta _{n})}
의 판별식은 다음과 같다.
Δ
Q
(
ζ
n
)
=
(
−
1
)
φ
(
n
)
/
2
n
φ
(
n
)
∏
p
|
n
p
−
φ
(
n
)
/
(
p
−
1
)
{\displaystyle \Delta _{\mathbb {Q} (\zeta _{n})}=(-1)^{\varphi (n)/2}n^{\varphi (n)}\prod _{p|n}p^{-\varphi (n)/(p-1)}}
여기서
φ
(
n
)
{\displaystyle \varphi (n)}
은 오일러 피 함수 이다.
∏
p
|
n
{\displaystyle \prod _{p|n}}
은
n
{\displaystyle n}
의 소인수들에 대한 곱이다.
다음과 같은 체의 확대 들은 대수적 수체가 아니다.
Q
(
π
)
/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(\pi )/\mathbb {Q} }
는 초월 확대 이므로 수체가 아니다.
R
/
Q
{\displaystyle \mathbb {R} /\mathbb {Q} }
나
C
/
Q
{\displaystyle \mathbb {C} /\mathbb {Q} }
역시 초월 확대이므로 수체가 아니다.
Q
(
x
)
/
Q
{\displaystyle \mathbb {Q} (x)/\mathbb {Q} }
역시 초월 확대 이므로 수체가 아니다.
대수적 수 의 체를
Q
¯
{\displaystyle {\bar {\mathbb {Q} }}}
라고 하자.
Q
¯
/
Q
{\displaystyle {\bar {\mathbb {Q} }}/\mathbb {Q} }
는 대수적 확대이지만, 무한 차수의 확대이므로 수체가 아니다.
C
/
R
{\displaystyle \mathbb {C} /\mathbb {R} }
는 유리수체의 확대가 아니므로 수체가 아니다.